요즘 스마트폰은 물론이고 태블릿, 스마트워치까지 다양한 기기가 일상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고령층 어르신들께는 아직도 스마트기기 사용이 쉽지 않고, 기기를 구입하는 것 자체가 큰 부담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유로 정부와 지자체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시니어 스마트기기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지원사업이 무엇인지, 누가 받을 수 있고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꼭 필요한 내용을 정리해 드립니다.
1. 왜 시니어 스마트기기 지원사업이 필요할까?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적으로도 빠른 편입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층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많이 늘었지만 여전히 사용 방법이 어려워 전화, 문자 외에는 활용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비대면 행정, 모바일 뱅킹, 긴급 재난 문자 수신 등 필수 생활 기능이 스마트기기에 의존되면서, 스마트기기 사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시니어들이 디지털 소외계층으로 남지 않도록 스마트기기 무상 대여, 저가 구매 지원 등 다양한 방법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2. 대표적인 지원사업은?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운영하는 ‘디지털배움터 스마트기기 무료 대여 및 교육’입니다. 일정 나이 이상의 고령층이라면 스마트패드나 스마트폰을 일정 기간 무료로 빌려서 사용해 볼 수 있고, 사용법까지 1:1로 배울 수 있어 많은 분들이 만족해하고 있습니다. 일부 지자체는 자체 예산으로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태블릿 PC를 대여하거나 저가에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합니다.
3. 누가 신청할 수 있나?
일반적으로 만 60세 이상이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역에 따라 지원 연령과 조건이 조금씩 다르므로 반드시 본인이 거주하는 시·군·구 홈페이지를 통해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등 소득 기준에 따라 우선 지원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4. 신청 방법은?
신청은 복잡하지 않습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가까운 주민센터나 노인복지관에 직접 방문하는 것입니다. 담당자에게 ‘스마트기기 지원사업 문의’라고 말씀하시면 즉시 신청서를 작성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대여 가능한 기기를 바로 수령하거나 교육 일정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배움터 홈페이지(www.디지털배움터. kr)’에서도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회원가입 후 원하는 강의와 기기 대여를 신청하면, 배움터 코디네이터가 연락을 주고 수령일정을 안내합니다. 다만 일부 지역은 현장 방문 신청만 가능한 경우도 있으니, 가급적이면 가까운 복지관을 먼저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교육까지 함께 제공되는 이유
기기만 지원해 드리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어르신들이 스마트폰은 있지만 사용법을 몰라서 방치하거나,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노출되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스마트기기 지원사업은 반드시 기초 사용법 교육과 함께 운영됩니다. 문자 보내기, 영상통화, 카카오톡 사용법, 인터넷 검색, 공공앱 활용법 등 실생활에 필요한 내용을 무료로 배우실 수 있습니다. 특히 강사들이 시니어 친화적 언어와 설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6. 주의할 점
최근 스마트기기 지원사업을 빙자한 사기가 늘고 있습니다. ‘태블릿 무료’ ‘스마트폰 공짜’라는 광고 문구로 어르신들을 유인한 뒤 고가 요금제에 가입시키는 사례가 많으니, 반드시 정부나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식 채널을 통해서만 신청하세요. 복지관, 주민센터, 디지털배움터 외의 무작위 전화권유는 일절 응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함께 알아두면 좋은 정보
스마트기기 지원 외에도 ‘디지털 역량 강화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컴퓨터와 키오스크 사용법까지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운영 중입니다. 교통비까지 지원되는 곳도 있으니, 본인 또는 부모님께 꼭 안내해 드리고 신청해 보세요.
'공공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재난지원금 신청 방법 총정리! 대상부터 지급 시기까지 (0) | 2025.06.23 |
---|---|
긴급복지지원제도 총정리!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 해결방법 (0) | 2025.06.22 |
기초연금 신청방법 한눈에 정리! 조건부터 준비서류까지 꼼꼼하게 (0) | 2025.06.21 |
기초연금,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신청 방법 정리 (0) | 2025.05.14 |
노후 준비, 연금만으로 괜찮을까? 시니어를 위한 현실 점검 가이드 (0) | 2025.05.13 |